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감사인
- 유형자산 회계실무
- 자가건설
- 연말정산
- 기업가치
- 연결
- 종합소득세
- 회계원칙
- 지분법
- 부가가치세
- 세금신고
- k-ifrs 1023
- 회계처리
- 원상회복 의무
- 영업권
- 무형자산
- 유상증자
- 국세청
- k-ifrs 1016호
- 골프
- 전환우선주
- 회계정책
- 취득원가
- K-IFRS
- 골린이
- 내부회계
- 복구충당부채
- 유형자산
- 사례분석
- 충당부채
- Today
- Total
목록연말정산 (5)
회계 밖 세상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 모두에게 중요하지만 종종 혼란스러울 수 있는 주제인 소득세 절세 방법, 특히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소득공제와 세액공제: 근본적인 차이먼저 가장 기본적인 내용부터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소득공제: 과세 대상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빼주는 것입니다. 세율을 곱하기 전에 소득 자체를 줄여줍니다.세액공제: 세율을 곱한 후 산출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해주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소득이 높은 사람은 세율이 높기 때문에 소득공제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금액을 소득공제 받더라도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고소득자가 더 많은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부양가족 공제와 맞벌이 부부의 전략맞벌이 부부의 경우, 부양가..
1️⃣ 기본 용어용어설명연말정산근로자가 1년 동안 미리 납부한 소득세를 정산하는 절차. 세금을 더 냈다면 환급받고, 덜 냈다면 추가 납부총급여액근로자가 1년 동안 받은 급여 + 상여 + 수당 + 각종 수입의 총액에서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과세표준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 (총급여액 - 소득공제)산출세액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해 계산한 세액결정세액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를 차감한 후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액차감징수세액결정세액에서 이미 납부한 세액(기납부세액)을 뺀 금액. (+)이면 추가 납부, (-)이면 환급2️⃣ 공제 관련 용어용어설명소득공제과세표준을 줄여 세금을 줄이는 방식 (예: 신용카드 사용액, 연금저축, 주택자금 공제 등)세액공제산출된 세금에서 직접 차감하는 방식 (예: 의료비, 교육비,..
연말정산을 이해하려면 먼저 근로소득과 세금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근로소득이 어떻게 과세되고,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1️⃣ 근로소득과 세금의 기본 구조✅ 근로소득이란?근로자가 고용계약에 따라 제공한 노동의 대가로 받는 급여급여 + 상여 + 수당 + 각종 수입 포함비과세 소득: 식대(월 10만 원 이하), 출산·육아휴직급여, 자가운전보조금(월 20만 원 이하) 등✅ 근로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세금종류설명특징소득세근로자가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연말정산으로 최종 확정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가 지방세로 부과됨(예: 소득세 100만 원 → 지방소득세 10만 원)4대 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근로자와 회사가 절반씩 부담📌 소득세는 연말정산을 통해 정산되지만, 4대 보..
안녕하세요, 오늘은 근로자 여러분이 연말정산을 더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의 노력에 대한 정산이며, 이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있습니다. 그럼 이 서비스들과 그 이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이용 방법: 홈택스 웹사이트(홈택스)에 접속합니다. '장려금·연말정산·전자기부금' 메뉴를 선택합니다.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를 클릭하여 이용합니다. 이 서비스는 국세청이 증명서류를 발급 기관으로부터 수집하여 홈택스를 통해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증명서류를 손쉽게 수집할 수 있으며,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연말정산 미리보기 이용 방법: 홈택스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국세청이 제공하는 연말정산 관련 서비스들은 직장인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와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각 서비스의 주요 특징과 이용 방법을 요약해드리겠습니다. 1. 연말정산 소득ㆍ세액공제 증명자료 간소화 서비스 개통일: 1월 15일(월) 서비스 내용: 총 41가지 증명자료 제공, 올해 처음으로 고향사랑기부금, 영화관람료, 고용보험료, 수능 응시료ㆍ대학입학전형료 등이 포함됩니다.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는 1월 17일까지 신고센터에 신고할 수 있으며, 최종 자료는 1월 20일부터 확인 가능합니다. 2. 자녀 정보 관련 주의사항 중요 내용: 19세 성인(2004년생)이 된 자녀의 경우, 부모가 신청한 간소화자료 제공이 종료됩니다. 해결 방안: 자녀가 직접 동의해야 계속하여 자료 제공을 받을 수 있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