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환율변동효과
- 유형자산
- K-IFRS
- 기능통화
- 회계정책
- 국세청
- 회계처리
- 종합소득세
- 재무제표
- 기타포괄손익
- 골프
- 회계기준
- 데이터분석
- 연결
- 영업권
- 골린이
- 개인사업자
- 연결재무제표
- 세무실무
- 표시통화
- IFRS
- 파이썬
- 금융자산
- k-ifrs 1023
- 해외사업장
- 부가가치세
- 내부회계
- 무형자산
- 세금신고
- 공정가치
- Today
- Total
목록세금신고 (8)
회계 밖 세상

최신 종합소득세 완벽 가이드세율, 신고, 공제, 가산세 총정리 - 복잡한 세무를 한 번에!📋 목차종합소득세율 안내신고기한 및 납부방법연말정산 프로세스소득공제 항목 총정리세액공제 및 감면원천징수세율가산세 종류 및 대응법1. 종합소득세율 안내종합소득세는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 소득이 높을수록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되며, 2023년부터 일부 구간이 확대되어 서민 세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누진공제 활용법각 구간별로 계산하지 말고, 최고구간 세율을 적용한 후 누진공제액을 빼면 됩니다.예시: 과세표준 6,000만원 → 6,000만원 × 24% - 5,760,000원 = 8,640,000원2023년 귀속분 ~ 현재 (최신)과세표준세율누진공제1,400만원 이하6%-1,400만원 초과 ~ 5,000만원15%1,260..

2025년 사업자 세무일정의 핵심은 매월 10일(원천징수·4대보험), 15일(고용보험 신고), 25일(개별소비세·전자세금계산서) 반복 업무와 연간 5대 중요 일정을 놓치지 않는 것입니다. 특히 5월 종합소득세, 1월·7월 부가가치세, 2월 연말정산, 6월 해외금융계좌 신고, 11월 중간예납은 절대 놓치면 안 되는 핵심 일정입니다. 세무신고를 기한 내 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 20%와 납부지연 가산세 연 10.95%가 부과되므로, 디지털 캘린더 알림 설정과 서류 미리 준비가 필수입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패턴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충분히 소화 가능하며, 무엇보다 미리미리 여유 있게 준비하는 것이 성공적인 세무 관리의 핵심입니다. 이 가이드를 참고하여 불필요한 가산세 없이 효율적인 사업 운영을 하..

요즘 많은 분들이 안정적인 수입을 위해 직장 생활과 함께 개인사업을 병행하고 싶어 하시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개인사업자이면서 동시에 직장인으로 일하는 것은 법적으로 완전히 가능합니다! 다만 세금 신고나 4대 보험 납부 방식에 있어서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오늘은 개인사업자와 직장인을 병행할 때 꼭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을 세금, 4대 보험, 회사 규정 측면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세금 신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개인사업자로서의 소득과 직장인으로서의 급여, 두 가지 소득이 있다면 세금 신고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되실 텐데요. 기본적으로 두 소득을 모두 합산하여 종합소득세로 신고해야 합니다.1. 근로소득 연말정산직장에서는 매년 2월에 근로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을 진행합니다. 근로소..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사업주와 경리 담당자들이 헷갈려하는 '급여 지급시 공제한 원천징수세금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원천징수란 무엇인가?원천징수는 소득을 지급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가 소득을 지급할 때 해당 소득에 대한 세금을 미리 공제하여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입니다. 급여를 지급하는 회사는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때 비과세소득을 공제한 금액에 대해 본인 및 가족사항을 고려한 간이세액표(국세청에서 발간)를 참고해 소득세(일명 '갑근세')와 지방소득세를 공제한 후 나머지 금액을 지급합니다.원천징수세금의 종류급여에서 공제되는 주요 원천징수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소득세(갑근세): 근로소득에 대한 기본 세금지방소득세: 소득세의 10%에 해당하는 세금국민연금: 과세금액의 4.5% (회사도 4..
벌써 5월이 다가왔네요.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인데요, 올해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한 주요 내용과 꿀팁을 정리해 드립니다.신고 기한은 언제인가요?2024년에 소득이 있으신 분들은 2025년 6월 2일(월)까지 종합소득세와 개인지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하셔야 합니다. 다만, 성실신고확인 대상자(일정 수입금액 이상 사업자)는 6월 30일(월)까지 신고하시면 됩니다.체크 포인트!경상도 산불 피해자, 제주항공 사고 피해자 등은 별도 신청 없이 9월 1일까지 납부기한이 연장됩니다. 단, 신고는 반드시 6월 2일까지 하셔야 해요!어떻게 신고하나요?세무서에 방문하지 않아도 다양한 방법으로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어요.1. 홈택스(PC) 또는 손택스(모바일)5월 한 달 동안 매일 06시부터 다음날 01시까지 이용 가..
5월이 되면 많은 개인사업자와 프리랜서들이 한 해의 수익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직장인들은 1월에 연말정산으로 세금 정산을 마치지만, 개인사업자나 부업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종합소득세를 별도로 신고해야 하죠. 종합소득세란 무엇이고, 어떻게 신고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종합소득세는 개인이 한 해 동안 얻은 소득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소득을 8가지로 분류하는데, 그중 6가지가 종합소득에 해당합니다:이자소득배당소득사업소득근로소득연금소득기타소득나머지 두 가지인 퇴직소득과 양도소득은 별도로 분류과세 됩니다. 이들은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큰 금액인 경우가 많아 종합소득세에 포함시키면 세율이 지나치게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종합소득세와 근로소득세의 차이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