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지분법
- k-ifrs 1016호
- 연결
- k-ifrs 1023
- 내부회계
- 골린이
- 유상증자
- 회계정책
- 취득원가
- 종합소득세
- 복구충당부채
- 회계처리
- 세금신고
- 연말정산
- 부가가치세
- 사례분석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기업가치
- 골프
- 영업권
- 전환우선주
- 자가건설
- 충당부채
- 국세청
- 회계원칙
- K-IFRS
- 감사인
- 원상회복 의무
- 유형자산 회계실무
- Today
- Total
목록국세청 (5)
회계 밖 세상
아이를 키우는 일은 기쁨도 크지만 경제적 부담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국가에서는 이런 가정을 위해 '자녀장려금'이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2025년 자녀장려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놓치기 쉬운 이 혜택, 한 번 자세히 살펴볼까요?자녀장려금이란?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저소득 가구에게 자녀 1인당 최대 100만원(최소 50만원)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아이 키우는 데 드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정부의 지원책이죠.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무엇이 다른가요?많은 분들이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혼동하시는데요, 가장 큰 차이점은 소득 기준입니다.근로장려금: 가구 유형에 따라 최대 4,400만원(맞벌이 기준)까지 인정자녀장려금: 부부합산 연소득 7,000만원 미만이면 가능 (훨..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놓치기 쉬운 '근로장려금' 제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열심히 일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이 제도, 어떻게 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근로장려금이란?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가구에게 국가가 현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일하는 저소득층을 위한 세금 환급'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근로 의욕도 높이고 실질적인 소득도 보장해주는 일석이조 제도죠!올해 달라진 점: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 확대!2025년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맞벌이 가구의 소득 기준이 3,800만원에서 4,400만원으로 확대되었어요! 이에 따라 약 6만 가구가 추가로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지원금액도 최대 33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내가 ..
벌써 5월이 다가왔네요.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인데요, 올해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한 주요 내용과 꿀팁을 정리해 드립니다.신고 기한은 언제인가요?2024년에 소득이 있으신 분들은 2025년 6월 2일(월)까지 종합소득세와 개인지방소득세를 신고하고 납부하셔야 합니다. 다만, 성실신고확인 대상자(일정 수입금액 이상 사업자)는 6월 30일(월)까지 신고하시면 됩니다.체크 포인트!경상도 산불 피해자, 제주항공 사고 피해자 등은 별도 신청 없이 9월 1일까지 납부기한이 연장됩니다. 단, 신고는 반드시 6월 2일까지 하셔야 해요!어떻게 신고하나요?세무서에 방문하지 않아도 다양한 방법으로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어요.1. 홈택스(PC) 또는 손택스(모바일)5월 한 달 동안 매일 06시부터 다음날 01시까지 이용 가..
국세청이 제공하는 연말정산 관련 서비스들은 직장인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와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각 서비스의 주요 특징과 이용 방법을 요약해드리겠습니다. 1. 연말정산 소득ㆍ세액공제 증명자료 간소화 서비스 개통일: 1월 15일(월) 서비스 내용: 총 41가지 증명자료 제공, 올해 처음으로 고향사랑기부금, 영화관람료, 고용보험료, 수능 응시료ㆍ대학입학전형료 등이 포함됩니다.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는 1월 17일까지 신고센터에 신고할 수 있으며, 최종 자료는 1월 20일부터 확인 가능합니다. 2. 자녀 정보 관련 주의사항 중요 내용: 19세 성인(2004년생)이 된 자녀의 경우, 부모가 신청한 간소화자료 제공이 종료됩니다. 해결 방안: 자녀가 직접 동의해야 계속하여 자료 제공을 받을 수 있습..

2022년 제1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대상자 613만명은 7월 25일까지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한다. 개인 일반과세자는 496만명, 법인사업자는 117만 개 정도이다. 또한, 세법 개정에 따라 직전 연도 공급대가 합계액이 4,800만원이상인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 발급의무가 있으며, 예정부과기간(1.1~6.30)에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간이과세자는 7월 25일까지 부가가치세를 신고, 납부하여야 한다.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않은 간이과세자는 직전 과세기간(21.1.1~12.31) 납부세액의 1/2에 해당하는 예정부과세액(50만원미만 제외)을 7월 25일까지 납부하면 된다.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신고서 주요 항목을 바로 조회하여 채울 수 있는 "미리채움" 서비스를 이용하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신고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