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원상회복 의무
- 유형자산 회계실무
- 복구충당부채
- 유형자산
- 회계정책
- 국세청
- 연결
- 공정가치
- 재무회계
- 취득원가
- 충당부채
- 연말정산
- 골프
- 소득세
- 세금신고
- K-IFRS
- 회계처리
- 사례분석
- 부가가치세
- 자가건설
- 무형자산
- k-ifrs 1023
- 파이썬
- 종합소득세
- 지분법
- 영업권
- 내부회계
- 골린이
- k-ifrs 1016호
- 회계기준
- Today
- Total
목록법인세비용 (2)
회계 밖 세상
회계를 공부하거나 실무를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은 마주치게 되는 이연법인세. 솔직히 말하면 처음에는 정말 어렵습니다. 저도 처음 배울 때 "도대체 이게 뭐지?" 하면서 머리를 쥐어뜯었던 기억이 납니다.그런데 막상 이해하고 나면 "아, 이런 거였구나!" 하게 되죠. 오늘은 여러분이 그 깨달음의 순간을 맞을 수 있도록 이연법인세에 대해 차근차근 풀어보겠습니다.이연법인세자산, 언제 인식할 수 있을까?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는 조건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사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요.주로 두 가지 경우에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합니다첫 번째는 차감할 일시적 차이입니다. 이게 뭐냐면, 미래에 세무 조정을 할 때 마이너스 세무 조정을 함으로써 미래의 세금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거예요. 예를 들어, 회계상으로는 대손충당..
1.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의 인식 당기 및 과거기간에 대한 당기법인세 중 납부되지 않은 부분은 재무제표에 부채로 인식 과거기간에 이미 납부한 금액이 그 기간동안 납부하여야 할 금액을 초과하였다면 그 초과금액은 재무제표에 자산으로 인식 일반적으로 당기손익 이외의 항목으로 인식되는 법인세와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법인세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당기법인세는 당기손익으로 인식 2.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의 측정 (1)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 및 세법 당기법인세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 및 세법을 사용하여, 과세당국에 납부할(환급받을)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으로 측정 새로운 법인세율 또는 세법이 보고기간말 혹은 그 이전에 발표되었으나 제정절차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실질적으로 법규가 제정되었다고..